7. 내장함수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,979회 작성일 19-01-19 09:24본문
7. 내장함수
abs
abs(x)는 어떤 숫자를 입력으로 받았을 때, 그 숫자의 절대값을 돌려주는 함수이다.
>>> abs(3)
3
>>> abs(-3)
3
>>> abs(-1.2)
1.2
all
all(x)은 반복 가능한(iterable) 자료형 x를 입력 인수로 받으며, 이 x가 모두 참이면 True, 거짓이 하나라도 있 으면 False를 리턴한다.
(※ 반복 가능한 자료형이란 for문으로 그 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. 리스트, 튜플, 문자열, 딕셔너리, 집합 등이 있다.)
다음의 예를 보자.
>>> all([1, 2, 3])
True
리스트 자료형 [1, 2, 3]은 모든 요소가 참이므로 True를 리턴한다.
>>> all([1, 2, 3, 0])
False
리스트 자료형 [1, 2, 3, 0] 중에서 요소 0은 거짓이므로 False를 리턴한다.
(※ 자료형의 참과 거짓에 대해 잘 기억나지 않는다면 02-7절을 다시 한 번 읽어 보자.)
any
any(x)는 x 중 하나라도 참이 있을 경우 True를 리턴하고, x가 모두 거짓일 경우에만 False를 리턴한다. all(x)의 반대 경우라고 할 수 있다.
다음의 예를 보자.
>>> any([1, 2, 3, 0])
True
리스트 자료형 [1, 2, 3, 0] 중에서 1, 2, 3이 참이므로 True를 리턴한다.
>>> any([0, ""])
False
리스트 자료형 [0, ""]의 요소 0과 ""은 모두 거짓이므로 False를 리턴한다.
chr
chr(i)는 아스키(ASCII) 코드값을 입력으로 받아 그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이다.
(※ 아스키 코드란 0에서 127 사이의 숫자들을 각각 하나의 문자 또는 기호에 대응시켜 놓은 것이다.)
>>> chr(97)
'a'
>>> chr(48)
'0'
dir
dir은 객체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변수나 함수를 보여 준다. 아래 예는 리스트와 딕셔너리 객체의 관련 함수들(메서드)을 보여 주는 예이다. 우리가 02장에서 살펴보았던 자료형 관련 함수들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.
>>> dir([1, 2, 3])
['append', 'count', 'extend', 'index', 'insert', 'pop',...]
>>> dir({'1':'a'})
['clear', 'copy', 'get', 'has_key', 'items', 'keys',...]
divmod
divmod(a, b)는 2개의 숫자를 입력으로 받는다. 그리고 a를 b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튜플 형태로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divmod(7, 3)
(2, 1)
>>> divmod(1.3, 0.2)
(6.0, 0.099999999999999978)
enumerate
enumerate는 "열거하다"라는 뜻이다. 이 함수는 순서가 있는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문자열)을 입력으로 받아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enumerate 객체를 리턴한다.
(※ 보통 enumerate 함수는 아래 예제처럼 for문과 함께 자주 사용된다.)
무슨 말인지 잘 이해되지 않으면 다음 예를 보자.
>>> for i, name in enumerate(['body', 'foo', 'bar']):
... print(i, name)
...
0 body
1 foo
2 bar
순서값과 함께 body, foo, bar가 순서대로 출력되었다. 즉, 위 예제와 같이 enumerate를 for문과 함께 사용하면 자료형의 현재 순서(index)와 그 값을 쉽게 알 수 있다.
for문처럼 반복되는 구간에서 객체가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려주는 인덱스 값이 필요할때 enumerate 함수를 사용하면 매우 유용하다.
eval
eval(expression)은 실행 가능한 문자열(1+2, 'hi' + 'a' 같은 것)을 입력으로 받아 문자열을 실행한 결과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eval('1+2')
3
>>> eval("'hi' + 'a'")
'hia'
>>> eval('divmod(4, 3)')
(1, 1)
보통 eval은 입력받은 문자열로 파이썬 함수나 클래스를 동적으로 실행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된다.
filter
filter란 무엇인가를 걸러낸다는 뜻으로, filter 함수도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. filter 함수는 첫 번째 인수로 함수 이름을, 두 번째 인수로 그 함수에 차례로 들어갈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받는다. 그리고 두 번째 인수인 반복 가능한 자료형 요소들이 첫 번째 인수인 함수에 입력되었을 때 리턴값이 참인 것만 묶어서(걸러내서) 돌려준다.
다음의 예를 보자.
#positive.py
def positive(l):
result = []
for i in l:
if i > 0:
result.append(i)
return result
print(positive([1,-3,2,0,-5,6]))
결과값: [1, 2, 6]
즉, 위에서 만든 positive 함수는 리스트를 입력값으로 받아 각각의 요소를 판별해서 양수값만 리턴하는 함수이다.
filter 함수를 이용하면 위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.
#filter1.py
def positive(x):
return x > 0
print(list(filter(positive, [1, -3, 2, 0, -5, 6])))
결과값: [1, 2, 6]
여기서는 두 번째 인수인 리스트의 요소들이 첫 번째 인수인 positive 함수에 입력되었을 때 리턴값이 참인 것만 묶어서 돌려준다. 앞의 예에서는 1, 2, 6만 양수여서 x > 0 이라는 문장이 참이 되므로 [1, 2, 6]이라는 결과값을 리턴하게 된 것이다.
앞의 함수는 lambda를 이용하면 더욱 간편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.
>>> print(list(filter(lambda x: x > 0, [1, -3, 2, 0, -5, 6])))
hex
hex(x)는 정수값을 입력받아 16진수(hexadecimal)로 변환하여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hex(234)
'0xea'
>>> hex(3)
'0x3'
id
id(object)는 객체를 입력받아 객체의 고유 주소값(레퍼런스)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a = 3
>>> id(3)
135072304
>>> id(a)
135072304
>>> b = a
>>> id(b)
135072304
위 예의 3, a, b는 고유 주소값이 모두 135072304이다. 즉, 3, a, b가 모두 같은 객체를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만약 id(4)라고 입력하면 4는 3, a, b와 다른 객체이므로 당연히 다른 고유 주소값이 출력된다.
>>> id(4)
135072292
input
input([prompt])은 사용자 입력을 받는 함수이다. 입력 인수로 문자열을 주면 아래의 세 번째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문자열은 프롬프트가 된다.
(※ [ ] 기호는 괄호 안의 내용을 생략할 수 있다는 관례적인 표기법임을 기억하자.)
(※ 파이썬 2.7 버전의 경우 input 대신 raw_input을 사용해야 한다.)
>>> a = input()
hi
>>> a
'hi'
>>> b = input("Enter: ")
Enter: hi
위에서 입력받은 문자열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다.
>>> b
'hi'
int
int(x)는 문자열 형태의 숫자나 소수점이 있는 숫자 등을 정수 형태로 리턴하는 함수로, 정수를 입력으로 받으면 그대로 리턴한다.
>>> int('3')
3
>>> int(3.4)
3
int(x, radix)는 radix 진수로 표현된 문자열 x를 10진수로 변환하여 리턴한다.
2진수로 표현된 '11'의 10진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.
>>> int('11', 2)
3
16진수로 표현된 '1A'의 10진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.
>>> int('1A', 16)
26
isinstance
isinstance(object, class)는 첫 번째 인수로 인스턴스, 두 번째 인수로 클래스 이름을 받는다. 입력으로 받은 인스턴스가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판단하여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를 리턴한다.
>>> class Person: pass
...
>>> a = Person()
>>> isinstance(a, Person)
True
위의 예는 a가 Person 클래스에 의해서 생성된 인스턴스임을 확인시켜 준다.
>>> b = 3
>>> isinstance(b, Person)
False
b는 Person 클래스에 의해 생성된 인스턴스가 아니므로 False를 리턴한다.
len
len(s)은 입력값 s의 길이(요소의 전체 개수)를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len("python")
6
>>> len([1,2,3])
3
>>> len((1, 'a'))
2
list
list(s)는 반복 가능한 자료형 s를 입력받아 리스트로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list("python")
['p', 'y', 't', 'h', 'o', 'n']
>>> list((1,2,3))
[1, 2, 3]
list 함수에 리스트를 입력으로 주면 똑같은 리스트를 복사하여 돌려준다.
>>> a = [1, 2, 3]
>>> b = list(a)
>>> b
[1, 2, 3]
map
map(f, iterable)은 함수(f)와 반복 가능한(iterable) 자료형을 입력으로 받는다. map은 입력받은 자료형의 각 요소가 함수 f에 의해 수행된 결과를 묶어서 리턴하는 함수이다.
다음의 예를 보자.
# two_times.py
def two_times(numberList):
result = [ ]
for number in numberList:
result.append(number*2)
return result
result = two_times([1, 2, 3, 4])
print(result)
two_times 함수는 리스트 요소를 입력받아 각 요소에 2를 곱한 결과값을 돌려준다.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.
결과값: [2, 4, 6, 8]
위의 예제는 map 함수를 이용하면 다음처럼 바꿀 수 있다.
>>> def two_times(x): return x*2
...
>>> list(map(two_times, [1, 2, 3, 4]))
[2, 4, 6, 8]
이제 앞 예제를 해석해 보자. 먼저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1이 two_times 함수의 입력값으로 들어가고, 1 * 2의 과정을 거쳐서 2가 된다. 다음으로 리스트의 두 번째 요소인 2가 2 * 2의 과정을 거쳐 4가 된다. 따라서 결과값 리스트는 이제 [2, 4]가 된다. 총 4개의 요소값이 모두 수행되면 최종적으로 [2, 4, 6, 8]이 리턴된다. 이것이 map 함수가 하는 일이다.
(※ 위 예에서 map의 결과를 리스트로 보여 주기 위해 list 함수를 이용하여 출력하였다. 파이썬 2.7은 map의 결과가 리스트이므로 위 예에서 list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로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.)
앞의 예는 lambda를 사용하면 다음처럼 간략하게 만들 수 있다.
>>> list(map(lambda a: a*2, [1, 2, 3, 4]))
[2, 4, 6, 8]
map 함수 예를 하나 더 살펴보자.
# map_test.py
def plus_one(x):
return x+1
print(list(map(plus_one, [1, 2, 3, 4, 5])))
결과값: [2, 3, 4, 5, 6]
위 예는 map과 plus_one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의 각 요소값을 1씩 증가시키는 예제이다.
max
max(iterable)는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대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max([1, 2, 3])
3
>>> max("python")
'y'
min
min(iterable)은 max 함수와 반대로,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소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min([1, 2, 3])
1
>>> min("python")
'h'
oct
oct(x)는 정수 형태의 숫자를 8진수 문자열로 바꾸어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oct(34)
'0o42'
>>> oct(12345)
'0o30071'
open
open(filename, [mode])은 "파일 이름"과 "읽기 방법"을 입력받아 파일 객체를 리턴하는 함수이다. 읽기 방법(mode)이 생략되면 기본값인 읽기 전용 모드(r)로 파일 객체를 만들어 리턴한다.
mode
설명
w 쓰기 모드로 파일 열기
r 읽기 모드로 파일 열기
a 추가 모드로 파일 열기
b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 열기
b는 w, r, a와 함께 사용된다.
>>> f = open("binary_file", "rb")
위 예의 rb는 "바이너리 읽기 모드"를 의미한다.
아래 예의 fread와 fread2는 동일한 방법이다.
>>> fread = open("read_mode.txt", 'r')
>>> fread2 = open("read_mode.txt")
즉, 모드 부분이 생략되면 기본값으로 읽기 모드인 r을 갖게 된다.
다음은 추가 모드(a)로 파일을 여는 예이다.
>>> fappend = open("append_mode.txt", 'a')
ord
ord(c)는 문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(※ ord 함수는 chr 함수와 반대이다.)
>>> ord('a')
97
>>> ord('0')
48
pow
pow(x, y)는 x의 y 제곱한 결과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pow(2, 4)
16
>>> pow(3, 3)
27
range
range([start,] stop [,step])는 for문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함수이다. 이 함수는 입력받은 숫자에 해당되는 범위의 값을 반복 가능한 객체로 만들어 리턴한다.
인수가 하나일 경우
시작 숫자를 지정해 주지 않으면 range 함수는 0부터 시작한다.
>>> list(range(5))
[0, 1, 2, 3, 4]
인수가 2개일 경우
입력으로 주어지는 2개의 인수는 시작 숫자와 끝 숫자를 나타낸다. 단, 끝 숫자는 해당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자.
>>> list(range(5, 10))
[5, 6, 7, 8, 9]
인수가 3개일 경우
세 번째 인수는 숫자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.
>>> list(range(1, 10, 2))
[1, 3, 5, 7, 9]
>>> list(range(0, -10, -1))
[0, -1, -2, -3, -4, -5, -6, -7, -8, -9]
sorted
sorted(iterable) 함수는 입력값을 정렬한 후 그 결과를 리스트로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sorted([3, 1, 2])
[1, 2, 3]
>>> sorted(['a', 'c', 'b'])
['a', 'b', 'c']
>>> sorted("zero")
['e', 'o', 'r', 'z']
>>> sorted((3, 2, 1))
[1, 2, 3]
리스트 자료형에도 sort라는 함수가 있다. 하지만 리스트 자료형의 sort 함수는 리스트 객체 그 자체를 정렬만 할 뿐 정렬된 결과를 리턴하지는 않는다.
다음 예제로 sorted 함수와 리스트 자료형의 sort 함수의 차이점을 확인해 보자.
>>> a = [3, 1, 2]
>>> result = a.sort()
>>> print(result)
None
>>> a
[1, 2, 3]
sort 함수는 리턴값이 없기 때문에 result 변수에 저장되는 값이 없다. 따라서 print(result)를 하면 None이 출력된다. sort 함수를 수행한 후 리턴값은 없지만 리스트 객체 a를 확인하면 [3, 1, 2]가 [1, 2, 3]으로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.
str
str(object)은 문자열 형태로 객체를 변환하여 리턴하는 함수이다.
>>> str(3)
'3'
>>> str('hi')
'hi'
>>> str('hi'.upper())
'HI'
tuple
tuple(iterable)은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튜플 형태로 바꾸어 리턴하는 함수이다. 만약 튜플이 입력으로 들어오면 그대로 리턴한다.
>>> tuple("abc")
('a', 'b', 'c')
>>> tuple([1, 2, 3])
(1, 2, 3)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